이름:볍氏 (moonemi@hanmail.net) ( 남 )
2003/2/22(토) 09:50 (MSIE6.0,Windows98) 61.74.11.132 1024x768
익모초..  



엊저녁, 그리고 밤사이 무네미엔 진눈깨비가 내렸습니다.
지금은 뚜닥 뚜닥 빗방울 떨어지고 있습니다.
집 앞 국도 위에 쌓인 듯 고인 듯, 눈인 듯 빗물 인 듯..
차바퀴 지날 때마다, 제법 물-진눈깨비 튀기는 소리 들립니다.

제가 사는 집을 '국도 변 허름한 집'이라 표현하고 있는데..
가끔, 길가 집에 살기에 접할 수 있는 소리며 느낌들이 있습니다.
오늘이 그런 날인 것 같습니다.
집 왼편- 육단리, 마현리 쪽으로 지나는 차량들..
집 오른편- 와수리 쪽으로 달리는 차량들..
어디, 제법 멀리서부터 달려와,
저의 '국도 변 허름한 집' 앞을 지나치는 차 안 사람들 중엔..
한 순간, '요즘도 저렇게 허름한 집이 있구나..' 생각할지 모르겠습니다.
요즈음, 제가 몸 관리를 제대로 못하다 보니(잦고 지나친 술마심 때문에..)
몸과 마음이 허름해져 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집이 허름한 것은, 문제될 것 없으나 몸과 마음이 허름해지면 쓸쓸한 것 같습니다.

일상적으로 글 올리는 공간에 붙일 마땅한 사진이 없다 보니..
괜히, 진눈깨비, 달리는 차량, 허름한 집 얘기 꺼내 봤습니다.
위 사진은, 지난 8월 마을 건너편 공동묘지에서 만난 익모초입니다.


익모초 Leonurus sibiricus

과 명 : 꿀풀과
분포지 : 전국
개화기 : 7~8월
결실기 : 9월
용 도 : 밀원용. 약용
전국의 들이나 밭, 인가 주변 구릉지, 울타리 밑,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우리 나라의 각 지방 및 만주 지방에서 자라며 예로부터 부드러운 순과 잎을 찧어 먹었고 한약재로도 많이 이용해왔다. 익모초라 함은 전초(全草)를 말하는데, 높이 1~1.5미터 정도로 자라고 사각형의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희고 작은 털이 풀 전체에 덮여 있고 가지는 많이 갈라진다. 7~8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의 꽃이 피는데 꽃에 꿀이 많아서 양봉에 도움이 된다. 한방에서 여러 가지 병의 처방으로 쓰며, 여름 더위병 치료나 식욕증진을 위해 사용한다. 대개는 습기가 충분하면 어느 곳에서든지 잘 자란다.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
  내용 입력창 크게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번호제 목짦은댓글이름첨부작성일조회
12   가재를 만나다..  9 볍氏  2003/06/05  15578
11   짐 자전거의 추억..   볍氏  2003/05/07  21832
10       Re..좋다  3 앞산  2003/05/07  8079
9       Re..제가 자전거를 타게 된 것은.....  1  황정미  2003/05/07  4767
8   [상여 행렬]- 동네 지응래 어른 장례 모습  1 볍氏  2003/04/05  5430
7   이발사 아저씨 - 김 재남  1 볍氏  2003/03/21  6686
6   그리운 아이고야 할머니..  2 볍氏  2003/03/12  6680
5       아이고 할머니에 관해서.    지점집  2003/10/07  4034
4       Re..그리운 아이고야 할머니..       2003/06/10  5688
3   익모초..   볍氏  02/22-09:50  4284
2   빈집-구변동 대천상회..   볍氏  02/13-09:49  5070
1   구변동 돌담집   볍氏  02/06-09:20  10235

 
처음 이전       목록 홈 안내 알림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