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볍氏 (moonemi@hanmail.net)
2004/8/26(목) 06:59 (MSIE6.0,WindowsNT5.1) 220.70.177.134 1152x864
누구냐? 너!- 자벌레..  


▲아삭! 아삭.. 볏 닢을 마구 갉아먹는 <자벌레>란 녀석- 운장리 논에서 2004. 7..

올해, 사진의 벌레가 꽤 극성을 부린 것 같습니다.
여느 해엔 거의 눈에 뜨지 않았던 것 같은데..
어쩐 일인지, 올해는 이쪽 저쪽 논에서 극성스레 볏 닢을 갉아먹더군요.

녀석이 정확히 어떤 벌레인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다만, 주위에서 <자벌레>라고 하는 얘기를 듣기는 했습니다.
제가 중학교1학년이던 1976년에, 첫째 혜숙 누님으로부터 선물 받아..
지금껏 사용하고 있는, [국어사전-동아 콘사이스]에서 <자벌레>를 찾아보니..

‘자벌레나방과(尺蛾科)의 나방의 유충. 가슴에 세 쌍의 발,
배에 한 쌍의 발이 있어 기어갈 때에는 꼬리를 머리 쪽에
갖다 대어놓고 몸을 앞으로 펴며 마치 자질하는 것 같이 걸어감.
풀과 나뭇잎을 먹어서 농림업에 큰 해를 줌. [loopworm]' 라고 설명돼 있군요.

생긴 것이 검은 줄무늬가 있어서 그런가, ‘돼지벌레’라고 부르곤 하는..
멸강 나방 애벌레는, 해마다 심심찮게(?) 생겼다가 한동안 논둑풀잎과
논둑 옆 볏 닢을 몇 줄씩 갉아먹다, 때가 되면 사라지곤 하는걸 봐 왔는데..

<자벌레>라는 놈은, 저로선 올해 처음 보는 녀석입니다.
어느 쪽 논이라 할 것 없이, 녀석이 볏 닢을 꽤나 갉아먹었습니다.
장마비 줄기가 내리 쏟아지면, 여느 해 ‘돼지벌레’ 처럼..
제깐 것들이 물 담긴 논바닥에 떨어져 죽으려니, 했습니다만..
어쩐 일인지, 자벌레란 녀석들은 그렇게 쉬 익사溺死하지 않더군요.

꽤 여러 날, 볏 닢을 갉아먹어 신경 쓰게 하더니만..
결국은 녀석들도, 제풀에 사라지고 말더군요.
그런데, 녀석들이 논에서 사라지는 방식은..
볏 닢에 붙은 채, 새까맣게 말라죽어 있는 모양이었습니다.

녀석들의 그 새까만 ‘주검’이..
날개를 달고, 나방이 되어 날아간 흔적인지..
아니면, 애벌레 상태로 죽어서 그렇게 말라버린 것인지는 알지 못합니다.

어릴 적,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책상의 길이를 잴 때처럼..
몸을 오므렸다 폈다 하면서 이동하는 <자벌레>란 녀석..
생긴 건, 저렇게 순한 듯 해 보여도, 식성이 엄청 좋아서 일까?..
농사에 적잖은 해를 끼치는 것을, 올해 처음 알았습니다.

모쪼록, 내년엔 논에서 만나는 일없기를.. 바래 봅니다.


211.177.13.212 손희진: ㅡㅡ; 뭐냐? 설명을해야쥥...왜 니가 구한 내용을 말했?? [04/02-18:02]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
  내용 입력창 크게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번호제 목짦은댓글이름첨부작성일조회
170   첫, 벼베기 하다..  2 볍氏  2004/09/25  5361
169   [농가소개]- 버섯도 재배 하는, 백흥기님..   볍氏  2004/09/16  4168
168   [농가소개]- 젖소도 기르는 주남성님..   볍氏  2004/09/02  3682
167   누구냐? 너!- 자벌레..  1 볍氏  2004/08/26  4071
166   나에게 온 문자 메세지  1  앞산  2004/08/25  3611
165   벼꽃 질 무렵..   볍氏   2004/08/11  5457
164   [농가소개]- 무농약 토마토 재배, 천종선님...  7 볍氏  2004/08/11  6340
163   논둑 이발- 예초기..  1 볍氏  2004/07/23  6226
162   누구냐? 너!- 돌피..  3 볍氏  2004/07/18  3720
161   이삭거름 주기..   볍氏  2004/07/16  8450
160       Re..이삭거름 주기..  1  류성복  2004/07/26  8419
159   전주화 마나님 콩밭의 금禁줄   볍氏  2004/07/01  3699

 
처음 이전 다음       목록 홈 안내 알림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