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볍氏 (moonemi@hanmail.net)
2004/5/6(목) 09:18 (MSIE6.0,Windows98,i-NavFourF) 211.218.56.222 1024x768
다시 하는 못자리..  


▲병이 난 모판을 모두 논둑에 엎고, 새로 부은 못자리 망- 개울건너 오인선 님 댁..

계속,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가운데, 못자리에 병이 난 농가들이 꽤 있습니다.
이미 한쪽에선 모내기가 시작된 가운데, 그저께는 못자리를 새로 한 댁이 있습니다.
제가 못자리 품앗이를 함께 하는, 오인선님 댁입니다.

지난 4월 9일, 못자리 품앗이를 하는 네 농가 중
가장 먼저 못자리를 한 오인선 님 댁, 전체 770여장 모판 중 절반쯤이 망가졌답니다.
처음, 모가 싹 터 나올 때까지만 해도, "기가 막히게 잘 나왔다"더 군요.
그런데, 추위에 얼었는지 모가 꽤 커서는 덜컥 병에 걸리고 말았답니다.

"남들은 모를 내는데, 못자리를 하고 있으니.."
오인선님 부부와, 한영섭과 저, 그렇게 넷이서 360여장의 모를 다시 붓는데..
오인선님 부부는 마음의 끌탕을 놓기도 했습니다만..
이번엔, 3mm쯤 될까 싶게 싹을 크게 틔웠으니..
"사흘쯤 뒤엔 새싹이 흙을 들고 일어선다" 더라,
"이 달 이십일 께는, 모를 낼 수 있을 꺼라"는 말에, 위안을 받는 것 같습니다.

이 즈음, 모가 탈-병이 났거나, 저처럼 일부 모가 고르게 나지 않은 농가에서는..
모가 남을 것 같은 집에다, 모가 남으면 달라고 미리 이야기 해 놓곤 합니다.
'벼농사는 모苗 기르기가 반半 농사'라는 격언 같은 얘기를, 해마다 되새기게 됩니다.

지난번, 오인선 님댁, 첫 못자리하는 모습 보기


210.99.19.2 박근실: 옛날에는 모심기와 수확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일찍 모를 부었지만, 일찍 모붓는건 항상 냉해의 위협이 따릅니다. 요즘은 모심기와 수확기간이 짧으므로 약간 늦춰 못자리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05/06-15:04]
210.99.19.2 박근실: 옛날에는 유월초에 가지치기하는 벼(?)로 모내기를 하기도 했지요... 늦지는 않은것 같네요...힘내세요....... [05/06-15:07]
  이름   메일 (관리자권한)
  내용 입력창 크게
                    답변/관련 쓰기 폼메일 발송 수정/삭제     이전글 다음글    
번호제 목짦은댓글이름첨부작성일조회
145   써레질 하다..   볍氏  2004/05/16  3809
144   첫 물대기..   볍氏  2004/05/16  3650
143   종토비 뿌리다..   볍氏  2004/05/07  5150
142   다시 하는 못자리..  2 볍氏  2004/05/06  3180
141   밑거름 치다..  1  볍氏  2004/04/30  4497
140   못자리, 두 번째 물 넘기다..  2 볍氏  2004/04/26  3469
139   새싹을 기다림..   볍氏  2004/04/21  3350
138   못자리 물 넘기다..   볍氏  2004/04/17  3177
137   못자리 품앗이- 우리집..   볍氏  2004/04/17  3881
136   모판, 바닥 흙 담기..    볍氏  2004/04/17  3658
135   [못자리 품앗이]- 최준상님댁  1 볍氏  2004/04/13  3260
134   [못자리 품앗이]- 한영섭님댁..   볍氏  2004/04/13  3308

 
처음 이전 다음       목록 홈 안내 알림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