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천자칼럼> 올챙이송 화가 이중섭(1916~1956)의 50년대작 "개구리와 어린이"를 보면 커다란 꽃잎 위에 벌거숭이 아이와 개구리가 함께 어우러져 있다. 가난하던 날의 정경이거니와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보낸 이들에게 개구리를 좇아 산과 들,논두렁을 뛰던 일은 잊을 수 없는 추억이다. 개구리는 양서류이자 변태동물이다. 알에서 올챙이가 됐다 2~3달쯤 지나면 먼저 뒷다리가 나온 다음 앞다리가 나오면서 꼬리가 사라진다. 뒷발가락에 물갈퀴가 있고 뭍에선 쳐져 있던 아랫눈꺼풀이 물에선 물안경처럼위로 올라와 눈을 덮는 덕분에 물과 뭍에서 모두 살 수 있다. 움직이는 것만 먹고 기온이 낮아지면 겨울잠에 들어간다. 친숙해서인지,자라면서 모습과 생태가 변해서인지 우리에겐 유독 개구리와 관련된 얘기들이 많다.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한다" "우물 안 개구리" "청개구리같은" "무심코 던진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등.뿐이랴."입 큰 개구리" 유머시리즈는 지금도 여전히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내며 살아 움직인다. 이번엔 일명 "올챙이송"으로 불리는 "올챙이와 개구리"가 국민동요로 떠오르고 있다. "개울가에 올챙이 한 마리 꼬물꼬물 헤엄치다 뒷다리가 쏘옥 앞다리가 쏘옥 팔딱팔딱 개구리 됐네"라는 단순한 가사의 노래가 애 어른 모두에게 널리 불리는건 물론 CF와 휴대전화 벨소리로 인기를 모으면서 "모르면 간첩"이란 말까지나왔다. 윤현진씨가 93년 작사 작곡한 걸 한솔교육에서 판권을 사들인 뒤 2001년 인터넷 교육사이트를 열면서 사이버캐릭터에 율동을 더한 컨텐츠를 만들었는데 이걸지난해 MBCTV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브레인 서바이버"코너에서 가져다 쓰면서 급속히 퍼진 것이다. 원래는 "쏘옥"이 아니라 "쑥쑥"자란다의 "쑥"이었다고. "올챙이송"이 어른들에게까지 선풍적인 인기를 끄는 건 무슨 까닭일까. 누구나 한번만 들으면 따라 할 수 있을 만큼 쉽고 재미있어서라고도 하고,힘든일상에 지친 사람들이 동요를 통해서라도 위로받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의 저자 말콤 글래드웰은 무엇인가가 뜨는 것은사람들의 마음속에 잠재된 소망이 아르키메데스의 받침점같은 걸 찾아내면서 점화되기 때문이라고 얘기했다. "올챙이송"의 유행은 모든 이들이 올챙이가 아닌 개구리로 변하고 싶어해서가아닐까. 어쨌거나 동요로라도 어둡고 그늘진 사람들 마음이 환해지고 희망을 품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
![]() ![]() ![]() ![]() ![]() ![]() |